지역이라는 무한한 자원 활용해야

동네빵집 주인의 죽음 1면 머릿기사

생각은 글로벌하게 초점은 지역으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조크 로터러 교수, 미국 지역신문의 권위있는 학자다. 서울신문 이경주 기자가 그를 인터뷰해 언론 잡지, 월간 <신문과 방송>에 기사를 실었다.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지역신문에 대한 사랑과 자긍심이 대단하다. 이것은 통계로도 나타나는데 미국 전역에서 전국지 비율은 6%남짓이다. 한국에서 전국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90%에 육박하고 그 중에서도 '조중동'으로 일컬어지는 3대 전국지의 비율이 70%에 달하는 국내의 상황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유발되는 여론 왜곡, 여론 독과점에 의한 문제점은 여기서는 거론하지 않겠다.

미국인들은 아침 첫만남에서 지역신문의 1면 머릿기사를 화제로 아침 대화를 나눈다. 누군가의 이웃에 살 만한 노인의 옛 이야기부터, 지역축제나 작은 공연들, 어린이 야구시합, 지역 고교 배구팀의 훈련소식, 통학버스 노선 변경, 시의회 보도, 걸스카우트 쿠키 최다 판매자 등등의 이야기다. 그러면서 이웃들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높이고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애정이 샘솟는 것이다.

동네빵집 주인의 부고가 미국 주간지의 1면 머릿기사에 실렸다. 이 기사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미국 지역신문 편집자는 이렇게 이야기 한다. "이제 더이상 그의 빵맛을 볼수 없기 때문 입니다" 이 짧은 대답 속에서 인생을 대하는 미국인들의 태도와 더불어 한국 지역언론이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로터러 교수는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조용한 시골마을에 "여긴 아무일도 벌어지지 않는 군"이라고 말한다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은 그의 머릿속이다"라고 일갈했다. 뉴스가 거창한 일이 일어나야만 생기는 것인가 뉴스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도록 했다. 그러면서 로터러 교수는 지역언론이 '신변잡기'나 취급하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된다면서 생각은 글로벌하게, 초점은 지역에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컨데 리비아 사태를 통해 작은 시골마을은 큰 변화가 찾아오지는 않지만 동네 휘발유 가격이 오르는 원인이 된다. 기자는 지역 대학이나 여러 공신력 있는 전문가를 취재해 기사를 쓸수 있는 것이다.  

요컨데, 지역신문은 메이저 신문의 다른 버젼이 아니라 전혀 다른 성격의 매체다. 지역이라는 블루오션, 무한한 자원을 활용하자는데 초점을 맞추자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탠포드대학 나딘 크루즈의 말을 인용하면서 글을 마치고자 한다. " 지역신문은 대도시 대형 일간지가 아무리 예산이 많다 하더라도 충족시킬 수 없는 인간의 본원적인 욕구를 만족시킨다. 그것은 공동체 의식의 확인이자 지역적 소속감에 대한 긍정적이고 친밀한 반영이고, 우리의 우리다움에 대한 확인이자, 확대된 가족과 같은 일체감이며, 깊숙이 그리고 뗄 수 없는 상호 연결성으로 거대한 우리(Big we)를 있게 한다."

 

 

 

 

Posted by 꼬장선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