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이란 공정, 정확, 객관이라는 세발 솥에 진실이라는 국 끓이기

피동형, 익명 표현 남발은 객관성이라는 탈을 쓴 저널리즘 파괴 행위

사실과 의견 구분하고 사건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 끊임없이 왜라고 묻기 

 

 

흔히들 언론은 "객관적이고 공정해야하며 정확해야" 한다고 말한다. 객관성은 무엇을 뜻할까? 국립국어원 국어대사전에는 객관성에 대해 "자기와의 관계에서 벗어나 제삼자의 입장에서 사물을 보거나 생각함"이라고 정의돼 있다. 여전히 모호하다.

김지영 저 <피동형 기자들>은 객관보도에 대해 "초연하고 선입견에 사로잡하지 않고 의견을 섞지 않고 스스로 관여하지 않고 편견을 배제하고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도하는 것이다"라고 존 메릴의 객관보도 정의를 인용하고 있다. 그러면서 사실과 의견을 분리해 사실을 의견으로 오염시키지 말고, 의견을 사실처럼 둔갑시키지 말라는 당부도 곁들이고 있다.

 

저널리즘이 곧 진실이라면 진실은 글 서두에서 말한 객관성, 공정성, 정확성이라는 세 다리로 구성된 솥으로 비유할수 있다. 진실은 객관성과 공정성, 정확성을 기본으로 해서 서서히 그 정체를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팩트라는 이름으로 사실 나열만으로는 사건의 본질을 파악할수 없다. 여기에 객관보도의 함정이 있다. 그러한 현상이 왜, 어떻게 발생했고, 구조적 문제는 무엇이며, 어떤 대안으로 극복해가야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보도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세상을 재구성 하는 기자들은 기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겁하게 주체가 뒤로 숨는" 피동형 문장을 지양하고 취재원의 명확히 밝히는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특히 기자들은 객관성이라는 탈을 쓰고 기자 개인의 생각을 마치 객관적인 양 포장해서 보도하는 잘못을 저지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해본다.

 

 

Posted by 꼬장선비
,

 

리스회사 영업사원 알면서 대출해줬을까

영업실적 과도한 경쟁이 1차적 원인 제공

엊그제 신문배달을 하며 라디오에서 대규모 기계리스 사기단 뉴스를 접했습니다. 제가 직전까지 근무했던 곳이 캐피탈 회사 기계리스 담당이었기에 귀가 솔깃할수밖에 없었습니다. 오늘 더욱 깜짝 놀랬던 것은 제 전 직장이었던 H캐피탈 부산지점이 사기단과 연루돼 있었기 때문입니다.

경남신문은 차상호 기자는 '공작기계 리스 보험사기조직 적발' 제하의 기사에서 "리스회사 영업직원 C(33)씨 등은 유령회사인 사실을 알면서도 정상적인 회사인 것처럼 서류를 조작했고, 기계판매상 D(45)씨 등은 불법 반출한 기계임을 알면서도 저가에 이를 구입한 뒤 다시 판매해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라고 리스회사 영업직원 C씨에 대한 혐의를 적시했습니다.

부산일보도 "이밖에 리스회사 영업직원인 김 모(33)씨 등 2명은 이 사건의 총책인 전씨 회사가 사업계획이나 자금 및 수주물량 확보 계획 등이 없어 기계를 빌릴 여건이 되지 않는 것을 알면서도 리스계약을 실행해 불구속입건됐다."라고 기록했습니다.

사실 저는 전 직장의 이러한 부당한 행위(?)를 견디지 못하고 퇴사를 결심했습니다. 입사후 1년만에 퇴사를 한 것인데요 신입사원에 대한 폭언, 악의적 괴롭히기를 견딜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업무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신입으로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알수는 없었지만 지금 혐의를 받고 있는 리스회사 영업직원 C씨를 1년동안 겪은 제가 봤을때는 영업 실적에 대한 스트레스와 압박을 느끼면서 실적일 위해 알면서도 대출을 해줄수 있다는 의구심을 완전히 배제할수는 없습니다.

C씨는 이른바 제 사수로 그이에게 영업을 배웠던 저는(실제로 선배 사수 사원은 후배 직원을 가르쳐야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에 대한 어떠한 지도도 없었음) 대체 절차란 것이 왜 필요한지 정당한 의구심을 가지는 것조차 억압당했습니다. 물론 수사기관에서 이모든 것에 대한 결론을 낼 것이지만 적어도 제가 봤을때는 그렇다는 것 입니다. 

여튼 아니땐 굴뚝에 연기 나랴라는 속담을 생각해보고 혐의를 받고 있는 C씨에 대한 수사기관의 정확하고 빈틈없는 수사를 촉구합니다. 짧은 기간이지만 캐피탈회사 직원으로 근무해본 경험으로는 회사가 이러한 리스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결재권자를 두고 업무 절차를 마련해 두고 있는데요. 이러한 절차까지 무시하고 오직 실적을 쌓기위해 혈안이 된 영업사원들의 모습을 지켜봅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남양유업 영업사원이 대리점 사장에게 폭언을 한 것도 영업숫자 위에 인격도 없는 고장난 사회의 한 단면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PS : 사실 저는 전 직장의 이러한 부당한 행위(?)를 견디지 못하고 퇴사를 결심했습니다.

-> 위 내용은 마치 전 직장에서 이러한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났다고 읽힐수 있어 이것은 사실과 다름으로 바로잡습니다. 전 직장의 이러한 부당한 행위(?)라고 표현한 것은 신입사원에 대한 교육이 실적 쌓기라는 영업사원들의 목적에 수단으로 제대로된 교육이 이뤄지지 않았음을 표현하기 위해 적은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리스회사 직원이 이러한 혐의를 받고 있는 것이 과도한 영업실적 경쟁과 "인격위에 실적"이라는 영업사원들끼리 하는 자조적인 말이 있을정도로 비인간적인 실적압박에 시달리고 있음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Posted by 꼬장선비
,

 

메타인지(metacognition) 능력 학습능력과 정비례

자기평가·자기조절 능력,후천적 노력으로 향상 가능

 

 

 

이미지의 회색 부분이 인간 뇌의 전두엽 부분으로 회백질이 많을수록 메타인지 기능이 높다는 사실이 미국 뉴욕대 신경과학과 플레밍 교수의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지난 8일 KBS1 <시사기획 창>에서 '전교 1등은 알고 있는 공부에 대한 공부'편이 방영됐다. 방송은 메타인지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와 전문가의 견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방법에 대해 조언했다.

방송은 메타인지(metacognition)란 "자신이 아는지 모르는지 스스로 아는 능력, 자신의 생각에 대해 생각하는 능력, 한차원 높은 인지 능력"으로 정의하고 메타인지가 높은 학생들이 학습능력도 높다는 사실을 입증해 보이고 있다.

뉴욕대 신경과학과 플레밍 교수는 이 메타인지 능력이 뇌의 구조와 연계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2010년 세계적 권위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지에 관련 기사를 게재 했다. 연구에 따르면 메타인지가 좋은 사람들은 뇌의 전전두엽 피질부위에 회백질이 더 많으며 특히 이 부분은 인간이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 특유의 능력이라고 이 학교 플레밍 교수는 설명했다. 

콜럼비아대학교 심리학과 메타인지 전공 리사 손 교수도 방송에서 메타인지는 자기평가능력과 자기조절능력으로 나뉘며 이 두 능력이 조화롭게 맞아 떨어져야 제대로 공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학생들은 또 공부 방법에 있어서 재학습과 셀프테스트 중에서 재학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유가 흥미롭다. 재학습이 자신을 덜 괴롭히며 스트레스를 덜 받기 때문이라는 것인데 이러한 공부방법에 대해 리사 손 교수는 "큰일난다"고 잘라말했다. 학생들이 자신이 공부를 하고 있다고 착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자신이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오면 이 것을 극복하고 모른다는 것을 인지해 체계적인 학습방법을 짜서 실행에 옮기는 전 과정이 메타인지다. 긍정적인 것은 메타인지가 IQ에 비해서 노력을 통해서 향상시킬수 있다는 사실과 IQ보다도 메타인지능력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이다.

현재 유럽에서는 메타인지를 정규 커리큘럼에 포함시키자는 주장까지 나오며 설득력을 얻고있다. 공부하는 방법을 알면 공부에 대한 효율이 오르게 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학습능력이 향상됨은 두 말할 나위 없는 것이다.

Posted by 꼬장선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