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은 인류 문명에 불을 지핀 횃불

기록, 출처를 밝힘으로써 신뢰 확보

 정직성, 객관성, 신뢰성이 기록 요건

기록은 인류 문명을 전하는 유일한 도구다. 기록의 발전이 없었다면 인류 문명의 전승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기록은 나의 생각과 공동체의 생각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기록은 중요하다. 우리는 잊기 위해서 기록한다. 기록해 두지 않으면 언젠가는 잊혀지게 된다.

국가기록원 소식지 <기록인> 23호에 소개된 김인태 서울대 명예교수는 기록의 소중함에 대해 "기록은 그 개인에게 몇가지 이로움을 준다. 기록과 정리 및 집계를 통해 자기 생활을 반성하게 되고 자랑스러운 기록을 위해서도 건전한 생활태도를 갖게한다. 그리고 향후의 생활을 계획하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무엇을 어떻게 기록해야 할까? 예를 들어 초등학교 입학하던 날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일시를 기록하지만 말고 당시의 날씨나 이에 따른 옷차림, 다른 친구들의 표정 등을 떠올려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국가기록원 최중기 사무관은 설명했다. 또 기록은 관찰과 사고의 산물인 만큼, 아주 복잡하고 추상적인 일들도 자세히 관찰하고 압축하여 육하원칙 또는 기승전결에 따라 정리하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깨달음과 새로운 의미를 찾아 낼 수 있다고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기록은 정직하고 객관적이며 분석적이어야 한다.

 기록은 또 자료를 통해 압축 가공되기도 한다. 정직한 기록은 신뢰성 있는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 진다. 오늘날 공공도서관에는 전자정보자료실이 구축돼 있다. 전자정보란 인터넷이나 CD-ROM 등의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기록을 일컫는다.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누구나가 생산하고 누구나가 접할수 있게 됐지만 반대로 신빙성 있는 정보에 대한 목마름은 더 커졌다. 이럴때 요구되는 덕목이 옥석을 가려내는 능력이다. 다시말해 신빙성 있는 정보는 출처의 표기를 통해 구현다. 출처를 확인하는 습관이 몸에 배면 글감을 모을때도 출처를 정확히 기록하는 좋은 태도가 자연스럽게 깃들게 될 것이라고 이강룡 작가가 조언했다.

결국 출처를 밝히는 행위는 글에 대한 정직성이다. 굳이 익명을 쓸 필요가 없는 정보원을 익명처리하고 글쓴이는 숨어버리는 피동형 문장도 글의 신뢰성을 떨어트리는 주범이다. 출처를 확인하는 것은 적절하게 인용한다는 뜻이다. 또 출처를 밝히는 것은 적절히 인용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독자들로 하여금 인용자가 읽은 원문을 독자도 확인할 수 있게끔 돕는 일이다.

기록이 비록 귀찮고 힘들다고 해서 멈추어서는 안된다. 오늘의 기록은 내일의 역사가 될것이며 미래의 거울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꼬장선비
,

KBS 해설위원, 지방정부 출범일에 논평

"지금껏 나온 방안들 이뤄진것 거의 없어"

"지방전체가 하나로 뭉쳐 해묵은 과제 해결해야"

 

KBS 임오진 해설위원이 민선6기 지방정부 출범일(7월 1일)에 KBS라디오 <뉴스와 해설>에 출연, 지방자치에 대해 논평했다.

임 해설위원은 "지방자치제가 도입된지 24년이 지났지만 반쪽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면서 "중앙에 대한 예속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 예로 평균 재정자립도가 20년전의 63.5%에 비해 50.3%로 크게 떨어졌으며 자체수입으로 공무원 인건비도 충당 못하는 지방자치단체가 80곳으로 전체의 30%가 넘는다고 지적했다. 또 지방정부는 기구 인력 운영에 대한 조직 자율권도 없고 조례하나 제정하는데도 정부의 각종 규제가 뒤따른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서 지금껏 해결방안으로 제시됐던 국세와 지방세 비율을 조정(종전 8:2에서 6:4로) 논의, 지방소비세율 인상 등도  이뤄진것은 거의 없다고 잘라말했다. 임 해설위원은 또 이에대한 해결방안으로 지방전체가 하나로 뭉쳐 해묵은 과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Posted by 꼬장선비
,

"양산군에서 소가 다리가 여섯인 송아지를 낳다"

조선왕조실록 숙종 24권, 18년 6월 12일 기사


서영길 수의사 "20년 일해도 그런 경우 못봐" 

"유전, 독성 물질에 의한 사례 학계 보고 돼"



<사진은 황태무님의 블로그에서 가져왔습니다. 뉴시스 워터마크로 봐서 뉴시스 기자가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됩니다.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8cJv&articleno=11972105>

조선왕조실록 숙종18년(서기 1692년) 6월 12일자 기사에 이렇게 기록돼 있다. "양산군에서 소가 다리가 여섯인 송아지를 낳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기형 송아지'를 검색해 보면 사진이 수록된 수많은 인터넷기사가 뜬다. 이 중에서 1973년 4월 22일자 <선데이 서울>은 경남 창녕발 기사에서 기형 송아지를 더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3월 31일 오전 10시께 출생한 이 송아지는 정상적인 다리 4개에 덤으로 어깨 부위에 다리 2개가 더 붙어 있는데 이 송아지는 어깨의 다리를 덜렁거리며 돌아다니는 통에 동네 사람들의 구경거리". 또 1994년 3월 12일자 연합뉴스 인터넷 기사에는 전남 영암군에서 5년생 한우가 다리 6개가 달린 기형 송아지를 출생했다며 "영암축협에서 인공수정을 한 뒤 분만한 것으로 예정일보다 일주일가량 늦게 태어났는데 정상적인 4개 다리 이외에 왼쪽 뒷다리 부분에 2개의 기형다리가 붙어 있고 항문도 왼쪽으로 틀어져 있는 등 심한 기형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썼다. 

이와는 별도로 기형 송아지가 원자력발전소 위험 문제와 결부돼 유언비어로 떠돌기도 했다. 이재환 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은 인터넷 매체 <시사일번지 폴리뉴스>와의 2010년 12월 31일자 인터뷰 기사에서 "'부산 지역에서 다리 다섯 달린 송아지가 나왔다, 원자력발전소 가까이 하면 다 죽는다, 인간도 이상하게 변한다'는 엄청난 유언비어가 원전 반대론자, 반핵단체, 환경론자들에 의해서 형성되 유언비어 만드니까 국민들이 당황하고 겁을 냈다"라고 말했다. 

경남도농업기술원은 등에모기가 옮기는 바이러스성 질병인 소 아까바네병이 임신한 소나 염소 등에 발생하면 태아의 유산, 조산, 사산 또는 관절이 굽거나 뇌수두증에 걸리는 기형송아지를 분만할 수도 있다며 농가에 주의를 당부했다. 

양산에서 대형동물 수의사로 일하는 서영길 원장(낙동동물병원)은 "유전이나 독성물질을 섭취했을때 다리가 어깨에 달린 증상이 있는 기형 송아지가 출산된다" 며 "20여년 수의사 생활동안 그런 사례를 보지는 못했고 수의학 전문 서적을 통해 학계에 보고된 사례는 더러 있다"고 말했다.



Posted by 꼬장선비
,